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최고,최초의 세계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

대륙조선

by 이주한2022 2017. 1. 23. 18:37

본문

 

 

신대륙발견

 크리스토 콜럼버스(1450년 10월 31일 ~ 1451년 10월 30일)

----------------------------------------------------------------------

---------------------------------------------------------------------

'내셔널지오그래픽'이 한국의 지도를 극찬한 이유

 

수백년전 1402년 조선시대에 제작된 세계지도 미스테리 ㄷㄷㄷ

----------------------------------------------------------------------

 

유럽에서 아프리카의 희망봉을 발견하여 지도에 표시한 시기보다 100년 앞선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1402년 제작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최근 담론과 지도의 재평가

 

--------------------------------

[명작다큐] 100년 전 조선의 지도에 그려진 아프리카 대륙의 비밀 <-- 류코쿠대학 수장고에 보관 중.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KBS 대기획 [문명의 기억, 지도] 1부 “달의 산” (2012)

 - 조선 성립 초기의 정통성을 나타내기 위해 제작됨.

 - 중국의 지도와 조선의 지도를 합쳐서 제작했다는 문구가 있음.

 - 같은 시기 유럽은 좌우로는 아시아까지 지도를 만들었지만,

   부근에 있던 아프리카는 사하라사막 이하로는 없다고 생각하고 지도에 그리지 않았다.

   -- 1488년 희망봉 발견 (바르톨로뮤 디아스) 되기 전까지 유럽은 아프리카 전체를 알지 못함..!ㅋ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가 작성되고 80년 후 발견

          지도 제작이 그렇다는 말이고, 그 전에 만들어진 지도는 얼마나 오래전에 알았을지 연구 필요..!ㅋ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가 표시되어 있음.

  -- 전설로 내려오던 [ 파로스등대 ] 가 그려져있고, 지금 그 실물이 프랑스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어 발굴 연구 중임.

   ** 알렉사드니라 파로스등대

  -- 우간다에 만년설이 있는 높은 산이 있는데, 서양에서는 100년 전에야 이게 나일강의 발원지라고 밝힘.!ㅋ

  -- 비잔틴제국이 멸망하면서 이탈리아로 넘어간 옛지도에 아프리카 관련 지도가 남아있는데,

      그리스사람들이 그린 지도로 보인다.

    --- 이 지도를 조선이 구해서 세계지도 제작에 합친 것으로 보인다.

- 일본이 갖고 있으면서 연구한 결과

  -- 지도에 쓰인 중국지명은 1320년경에 쓰이던 지명으로 확인됨..!ㅋ

   --- 몽골제국이 중국 대륙을 지배하던 시기..!

     ---- 몽골이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면서 전세계 역사에 베이징이 등장하기 시작함.

          이렇게 몽골의 원 나라는 수도를 올기고 항구와 운하를 만들었다.

          1300년 경 지금 중국의 회족(무슬림) 들이 살기 시작하고 중국 남부 지역에서

          중심으로 퍼져갔다,

         이들의 족보를보면 1300년대 이슬람 제2의 성지 사우디아라바아 [메디나]에서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아랍인들이 만들어 놓은 바닷길을 타고 지금의 회족들이 중국으로 왔고,

         몽골 원나라는 이 바닷길을 이용해 무역을 하기 위해, 운하와 항구를 만든 것이다.

    ---- 운하완성, 1293년..! <-- 몽골 즉, 원나라의 바닷길이 열리게 되었다.

- 아랍은 예전부터 무역을 하기 위해서 바닷길을 열었고, 유향등의 특산품을 팔았다.

      ** 유향:  명향(明香), frankincense tree

  -- 불국사 석가탑 보수 공사 중 1300년전 유향 발굴..!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유적에는 예전의 아랍상인이 전한 항해술이 조각으로 남아있다.

 -- 4각형으로 보이는 기구가 조각으로 남아있다.

    [ 카말 KAMAL ] 이라는 도구로 줄에 매듭을 일정하게 묶어서 위도를 측정했던 도구..!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의 하단 많은 섬과 정확한 해안선으로보아서

  아랍상인들이 갖고온 지도를 받아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 어떤 지도인지는 연구 중이라고 함..!( 2012년 현재 )

 

- 다민족 문화를형성했던 해양 국가가 있던 이탈리아의 [ 시칠리아 ]

  -- 이곳 술레이만 도서관에 중세 제일 오래된 지도, 제작자의 이름을 딴  [ 이드리시지도 : 1154년 ] 가 있다.

   --- 지도 중간에 아랍 반도를 배치, 위쪽이 남쪽, 아래쪽이 북쪽으로 그려진 지도

    ---- 여러장의 지역도에 중국과 [ 신라 ]도 표시되어 있음.

              <-- 1154년 제작된 지도에 벌써 신라가 표시되어 있음.

    ---- 현재 아프리카 지역을 나타내는 곳에 나일강의 발원지인 [ 달의 산 ] 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다.

 

- [ 대명국지도 ] - 이것도 일본에 있음.ㅋ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를 필사한 지도..!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 [저불로합마] 라는 라일강 발원지 산이름이 나옴

   이 이름은 아랍어를 음차한 것으로 그 뜻은 [ 달의 산 ]

 

학문을 숭상하고 계속 매진하는아랍의 문화

 - 1200년전 그리스의 [유클리드]를 아랍어로 번역하여 수학을 공부했을 정도.

 - 그리스 고전의 번역으로 부터 이슬람 학문이 시작되었다.

 

 

아랍의 지도도 고대 그리스의 지도를 바탕으로 발전함

 - 150년전 유럽의 학자가 [ 카이로 ] 에서 발견한 지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 국립대학도서관

  -- 아랍의 지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알화리즈미 ] 가 AD 820년에 그리스어를 번역해서

    발간한 책에 나일강의 발원지 지도가 있다.

** 아랍문명의 발전은 그리스 문명을 받아들여서 발전해 나간 것이다..!

 

 

 

------------------------------

수백년전 1402년 조선시대에 제작된 세계지도 미스테리 ㄷㄷㄷ

 

Early world maps KangnidoMap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