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김경일 인지심리학자

[스크랩] 모음

by 이주한2022 2017. 2. 22. 14:42

본문

YouTube 검색결과

  - ebs 김경일


EBS 초대석

 - 우리는 어떤 리더를 원하는가?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저서: 이끌리 말고 따르게 하라, 지혜의 심리학 등등


'윤리'의 심리학적 정의 

  --> 즉시적 만족감 지연 능력

      -->> 마시멜로우 실험: 지금 1개 먹을래? 1시간 후 2개 먹을래?

             --- 긴 시간인 지난 후 실험 참가자를 만나보면 1시간 참고 2개를 먹은 사람이 좀 더 사회에서

                 책임있는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결과 도출


System1 : 인간의 감정에 관련된 것

System2:         이성에 관련된 것


  system2(이성)는 system1(감정)을 이길 수 없다.

   --> 이성적인 리더라도 감정적 결함이 있으면 사회적 윤리의식과 맞지 않는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심리학에서 [리더쉽]이란?  =  정직함


 정직하지 않으면 삶의 어떤 분야와 합쳐져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정직하지 못한 사람의 특징

  1)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이용한다.

  2) 자신이 우월하다는 계급의식을 갖는다.

  3) 자기합리화를 통한 독선의 정당화


 * 이상이념강한 사회일 수록

   정직해지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이상에 대한 환상 앞에서

   무한폭력이 정당화 되는 사회가 될 수도 있다.



* 사회적으로 정직한 사람을 길러낼 필요가 있다.

  정직한 사람이 삶, 인생에 있어서의 생존율도 높다.

   --> 타인을 생각하는 삶, 도와주는 삶을 살다보면 서로 돕게되어

       친밀도 높은 삶을 영위하게 된다.

   --> 착한 사람이 더 뛰어난 능력을 갖게 된다.

   --> 남을 가르치다 보면 나보다 못한 사람에게 설명하기 위해 원리를 깨우치게 되고,

        그런 것이 바탕이 되어 많은 일을 이루는 근간이 된다.


* 정직하지 못한 사람이

  - 외향적이면 -->> 나르시즘(자의식 과잉)에 빠지게 된다.

  - 내성적이면 -->> 음모를 꾸미는 삶을 살게 된다.

  - 원만하면   -->> 아첨하며 살게된다.

  - 폐쇠적이면 -->> 고집불통이 된다.

 

 ==> 부정직함은 어떤 능력과 만나더라도

     안좋은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 인간의 인지능력의 위에 _메타인지_가 있다.

  - 메타인지: 자신이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 깨닫는 능력

  - 컴퓨터는 DB를 검색해봐야 아는지, 모르는지 대답을 하지만,

    인간은 알고 모르고를 1초내로 답할 수 있다.


 * 2017년의 대한민국은

    도구와 목표가 동시에 혼재된 상태에서 생각을 하다보니

    결정을 내리기 어렵게 되고, 에너지만 소모하게 된다.


   _해결방법_ 

     목표를 먼저 생각하고, 

     주변환경을 살펴서

     창조적으로 삶을 개척하자.!!


 * 목표의식의 중요함을 알려주는 실험

   [문제1] 

      다양한 재료 중 원하는 것을 골라 새롭고 신기한 것을 만드시오!

   [결과1]

      대부분의 결과물이 대동소이하게 된다.

      -- 부담되는 재료는 선택하지 않을 것이고, 그러다 보면 다른 사람이 만드는 것과

         비슷한 것을 만들게 된다.


   [문제2]

      다양한 재료 중 원하는 것을 5개 고르시오

   [결과2]

      대부분이 자기가 좋아하고 흥미로눈 것을 선택한다.


   [문제2-1]

     자신이 고른 5개의 재료를 가지고 새롭고 신기한 것을 만드시오!

   [결과2-1]

     처음에는 당황하고, 불평을 하겠지만

     자신이 선택한 것을 가지고 만들다보면

     집중을 하게되고 새로운 것을 만들게 된다.


   [문제3]

     아이들에게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먼저 상상하게 한다.

   [결과3]

     다양하고 폭넓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


   [문제3-1]

     다양한 재료 중 원하는 것을 골라 지금 말했던 것을 만드시오!

   [결과3-1]

     모든 재료를 하나씩 살피면서 그 쓰임새를 생각하게되고,

     다른 각도에서 사물을 보게된다.

     

   ===>> 큰 목표를 가져야 창조성이 발휘됨.


   -- 도구를 먼저 갖게 되면 창조성이 떨어진다.

      예) 어린시절 기성 장난감만 가지고 노는 것보다

          종이, 플라스틱병 등의 재료를 이용해서 원하는 것을

          하나씩 손으로 직접 만들어가는 것이 좀 더 창조적인 사고를 갖게해 준다.



** 좋은 리더를 고르는 방법

   -->> 실수했을 때 사과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자신의 실수를 당당히 밝히는 사람이 진정한 리더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