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조선
[스크랩] 조선인 중국, 일본 표류 관련
이주한2022
2025. 7. 21. 11:26
@@
2025년 7월 21일 | AI 개요 조선 시대 어부가 중국으로 표류한 기록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최부의 『표해록(漂海錄)』입니다. 이 기록은 성종 19년(1488년) 최부가 제주도에서 풍랑을 만나 중국 강남 지방에 표착했다가 북경을 거쳐 조선으로 돌아온 6개월간의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표류 과정뿐만 아니라 중국을 견문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 조선 지식인의 중국 인식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최부의 『표해록』: 표류 사건: 1488년 최부는 제주도에서 추쇄경차관으로 임무를 수행하던 중 풍랑을 만나 중국 강남 지역에 표착했습니다. 중국 견문: 표류 후 북경까지 이동하며 중국의 해로, 기후, 산천, 도로, 관부, 고적, 풍속 등을 상세히 기록했습니다. 의의: 『표해록』은 단순한 표류 기록을 넘어, 조선 지식인이 바라본 중국의 문화, 사회, 지리에 대한 생생한 기록을 담고 있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이 평가됩니다. 특징: 최부의 『표해록』은 중국 기행문 중에서도 세계 3대 기행문으로 꼽히며, 특히 중국 강남 지역에 대한 자세한 묘사로 유명합니다. 추가적으로, 흑산도 부근에서 표류한 문순득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는 표류 후 명나라 저장성 임해현에 상륙하여 압록강을 건너 조선으로 돌아왔습니다. 문순득은 이 경험을 정약전에게 이야기했고, 정약전은 이를 『표해시말(漂海始末)』이라는 책으로 기록했습니다. |
---===
[ 2025 ]
2025년 7월 21일 | |
표류선, 청하지 않은 손님*1) bwise.kr https://scholarworks.bwise.kr › KCI_FI001356207 정민 저술 · 2009 — 당시 조선인이 표류선 또는 표류민을 관찰하고, 이들. 과 대화한 후 남긴 기록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자료의 개황을 정리하고,. 당시 조선인의 외국 표류선 또는 외국인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