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고려인 강제 이주 역사

기억해야 할 일들

by 이주한2022 2019. 11. 24. 21:50

본문

 

---------------------------------------------------------------------------------

세베리아 열차 종단시 먼저가신 조상들의 얼을 달래는 기원을 드려야 겠다.

- 역마다 있는 큰 나무들에 기원을 드리자.!

--------------------------------------------------------------------

시베리아 고려인 강제이주 사할린 

<-- 검색결과

 

 

 

------------------------------------

고려인마을

 - 광주

-------------------------------------

 

2023 - 7 - 1
[ 웅진 고웨이 GO WAY ]
100년전 한국을 떠난 고려인들이 만든 마을, 그리고 큰 어른을 만나다
 [카자흐스탄 EP.9]
고려인 항일 운동가 추모비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에서
삶을 이어나간 고려인들.. ^^;
 
우슈토베, 쉼켄트, 키질오르다 등등
여러지역으로 고려인들이
강제 이주되셨다.
124편의 열차로
고려인 강제 이주 당함..

 

 

2023 - 5 - 23
김병화 마을
 - 우즈베키스탄 북극성 집단 농장의
지도자이다 사회주의 이주 노동 영웅
 칭호를 받은 고려인이 지은 마을

2014/ 7
[고려인 이주 150주년 특별연재-25] 북극성처럼 빛난 김병화 농장
 - 강제이주 직후에 우즈벡공화국 내의 한인들이 정착한 곳에서는
  당국의 부족한 지원 속에서도 콜호즈들이 조직되기 시작했다.
 타쉬켄트주 내에도 <북극성>(‘김병화’ 콜호즈),
  <레닌>, <북방의등대>, <전위>, <키로프>, <몰로토프>,
<새로운삶> 등의 한인농장들이 조직됐다.

 

 

[문화소개] 러시아, 중앙아시아에는 우리 한민족이 살고 있습니다 (민족의 아픈 역사, 고려인)

 - 50만 이상 거주중, 

 

고려인 강제 이주 역사

 - 시베리아 열차로 연해주에 강제 이동중 죽은 이들은 그냥 열차 밖으로 버려졌다.

   대략 500여명에 이른다

 - 그리고, 영하40도의 추위에 얼어붙은 바닥을 파서 땅굴을 만들고 비참한 상태로 생활을 시작했다.

 

고려인의 지위가 회복되고 구소련의 경제 부흥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노년의 홍범도 장군도 고려인 강제 이주 역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고려인 극장에서 수위를 하셨다고 합니다. 

  그리고, 정미소 노동일을 하시다가 70에 임종하셨다.

- 연극 <의밸들>의 작가가 이 노인에게 이야기를 듣고 만들었다고 한다.

 

많은 대단한 인물 중에 

빅토르 최

아니타 최

유리 텐과 그 아들

이고리 김

보리스 킴 

등등이 있다.

 

 

 

 

 

 

=========================================

[ 2022 ]

3 - 28 - 월 --------------------------------

'우크라이나 고려인' 31명 광주가 품는다…첫 집단입국 예정   

 - 관련 동영상 해설  

관련글 더보기